22년 전, 교통사고를 당해 신체의 절반이 3도 화상을 입는 끔찍한 경험을 겪었습니다. 돌이킬 수 없는 흉터, 사라진 손가락 마디, 그리곤 40여 차례의 수술…. 보통 사람이라면 감당할 수 없는 날이 계속됐지만 이지선(44) 교수는 희망을 놓지 않았습니다. ‘사회복지 전문가’의 꿈도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학업에 정진해 2016년 사회복지사 박사학위도 취득했습니다. 이런 그를 마주한 박다은(23) 학생도 사회복지사의 꿈을 키우고 있습니다만, 진로를 두고 고민에 빠져 있습니다. 사회복지사란 헌신적이면서도 거친 길을 걸을 만한 자격이 자
.embed-container { position: relative; padding-bottom: 56.25%; height: 0; overflow: hidden; max-width: 100%; } .embed-container iframe, .embed-container object, .embed-container embed { position: absolute; top: 0; left: 0; width: 100%; height: 100%; }# 대학을 수없이 떨어졌습니다. 배우 오디션도 도저히 넘을 수 없는 장벽 같았습니다. 그
.embed-container { position: relative; padding-bottom: 56.25%; height: 0; overflow: hidden; max-width: 100%; } .embed-container iframe, .embed-container object, .embed-container embed { position: absolute; top: 0; left: 0; width: 100%; height: 100%; }이예은(21) 학생은 아이돌을 꿈꾸고 있습니다. 아이돌과 거리가 멀어 보이는 컴퓨터공학과
지난해 동학개미운동만큼 공모주 시장도 뜨거웠습니다. SK바이오팜, 카카오게임즈, 빅히트엔터테인먼트 등이 공모주로 대박을 터뜨렸기 때문입니다. 공모주 열풍에 ‘따상(상장 첫 거래일 공모가격의 두배로 시작한 주가가 가격제한폭까지 상승하는 현상)’이라는 신조어까지 생겨났습니다.하지만 개인투자자가 공모주 투자로 큰 수익을 얻는 건 쉽지 않습니다. 높은 경쟁률을 뚫고 공모주를 배정받는 것조차 어려운 일이기 때문입니다. 운 좋게 경쟁률을 뚫었다고 해도 받을 수 있는 주식은 얼마 되지 않습니다. 공모주가 ‘따상’을 기록해도 손에 쥘 수 있는 수
# 배당주펀드의 종류는 다양합니다. 삼성전자 같은 대기업에 투자하는 펀드도 있고, 중소형주와 해외 배당주에 투자하는 상품도 있습니다. 대부분의 투자자는 중소형주와 해외배당주보다는 국내 대기업 배당주펀드에 투자하는 게 낫다고 생각합니다. 덩치가 큰 기업일수록 배당을 많이 할 것이란 인식 때문입니다.# 실상은 그렇지 않습니다. 대기업 비중이 높은 펀드보다는 중소형주를 많이 담고 있는 배당주펀드의 수익률이 높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지난 1월 20일 기준 삼성그룹 비중이 높은 배당주펀드의 1년 수익률이 27.74%를 기록한 반면 중소형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투자자의 관심이 높아지는 투자처가 있습니다. 배당주 펀드입니다. 장점은 다양합니다. 무엇보다 기업 배당이란 안정적인 수익을 노릴 수 있다는 점은 매력 포인트입니다. 여기서 투자자는 한가지 의문을 품을 만합니다. “배당주 펀드보다 배당을 주는 주식에 직접 투자하는 게 낫지 않을까?” 일례로 삼성전자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가 연말에 배당을 받고 팔면 배당과 함께 시세차익을 노릴 수 있지 않느냐는 겁니다.물론 주식 투자에 능한 투자자라면 제법 괜찮은 선택일지 모릅니다. 문제는 삼성전자 주식을 매수하는 시점과 매도 타
적립식 펀드에 투자할 때 착각하기 쉬운 게 있습니다. 적립식 펀드는 적금과 유사하니까 시간이 흐르면 일정한 수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란 착각입니다. 하지만 펀드는 주식에 가까운 투자상품입니다. 펀드의 운용 상황에 따라 얼마든지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관건은 이런 손실에 어떻게 대응하느냐입니다. 투자자의 열에아홉은 손실이 발생하면 펀드를 환매를 하려 들지만 때론 손실을 외면하는 것도 투자법 중 하나입니다. 엉클조와 강기자의 fund class 9편에서 손실에 대처하는 현명한 방법을 알아봤습니다.진행=강서구 더스쿠프 기자ksg@th
투자자의 마음은 갈대입니다. 들쑥날쑥한 수익률을 보면 펀드를 당장 펀드를 갈아타야 하는 게 아닌지 걱정하기 일쑤입니다. 외국과 달리 펀드시장의 역동성이 높은 국내 시장에선 이런 고민은 더 커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펀드 투자에서 잊지 말아야 할 게 있습니다. 펀드투자는 위험성을 줄이는 대신 적정한 수익을 노리는 중위험‧중수익 투자처라는 겁니다. 펀드 전문가들이 최소 1~3년의 여유를 갖고 펀드투자에 나서라고 조언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물론 여기엔 투자원칙이 있습니다. 펀드 수익률이 안정적인 우량주‧배당주 펀드를 분할 매수해야
여기 두개의 펀드가 있습니다. 첫번째 펀드는 최근 수익률이 30%에 이릅니다. 하지만 얼마 전까지만 해도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하는 등 무척이나 들쑥날쑥합니다. 두번째 펀드는 10%대 수익률을 꾸준히 유지하고 있습니다. 과연 어떤 펀드를 선택하는 게 좋을까요. 당장의 수익을 좇는다면 첫번째 펀드가 매력적일 겁니다.하지만 수익률 변동성이 크다는 건 언제든지 손실을 볼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이런 면에서 필자라면 방향성이 안정적인 두번째 펀드를 선택할 겁니다. 펀드는 단기간에 승부를 보는 곳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엉클조와 강기자의
라임·옵티머스 사태가 일파만파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름값’ ‘권력값’ 있는 사람들이 직간접적으로 연루돼 있다는 말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이런 논란이 사모펀드의 ‘태생적 리스크’에서 기인한다는 점입니다. 사모펀드는 소수 투자자(49인 이하)로부터 모은 자금으로 운영됩니다. 당연히 비공개이고, 투자금액은 ‘억 단위’입니다. 그러다 보니 사모펀드엔 ‘이름값’ ‘권력값’ 있는 사람들이 차고 넘칠 수밖에 없습니다. 심각한 점은 이들이 때론 사모펀드의 방패가 되고 투자자를 유혹하는 매개체가 되기도 한다는 겁니다. 엉클조와 강기
.embed-container { position: relative; padding-bottom: 56.25%; height: 0; overflow: hidden; max-width: 100%; } .embed-container iframe, .embed-container object, .embed-container embed { position: absolute; top: 0; left: 0; width: 100%; height: 100%; }# 딸(윤재)의 몸은 갈수록 뻣뻣해졌습니다. 먹는 것도, 앉는 것도, 하물며 옷을 입고
적립식펀드에 매달 10만원씩 여섯달을 넣었다고 칩시다. 그런데 60만원이 있어야 할 통장에 54만원밖에 남아있지 않습니다. 따져보니, 매달 1만원씩 손실을 봤다는 겁니다. 이럴 때면 많은 초보 투자자들이 주춤합니다. 손실의 늪에 빠질까 두렵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럴 필요 없습니다. 펀드에서 손실은 ‘평가금액’이기 때문입니다. 어려우신가요? 엉클조와 강기자의 fund class 제5편에서 평가금액의 진실과 ‘좌’란 낯선 용어를 풀어봤습니다.진행=강서구 더스쿠프 기자ksg@thescoop.co.kr진행=조경만 금융컨설턴트(엉클조 대표
펀드 투자 초보자가 흔히 하는 실수가 있습니다. 펀드를 판매하는 증권사나 은행을 믿고 베팅하는 경우가 숱하다는 겁니다. 최근 사모펀드 부실운영 사태가 줄줄이 터진 것도 펀드를 판매한 증권사와 은행만 보고 투자한 이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왜 이런 일이 계속해서 벌어지는 걸까요. 답은 간단합니다. 펀드 투자자들이 펀드 판매사, 펀드 운용사, 펀드자금을 보관하는 수탁사로 이뤄진 3각 시스템을 잘 모르기 때문입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펀드에 투자할 땐 증권사나 은행 등 판매사가 아닌 운용사를 검증해야 합니다. 더스쿠프(The SCOOP)가
펀드 투자에 나서고 싶어도 투자 초보자에겐 어려움이 많습니다. 이름만 들어선 알기 힘들 정도로 펀드의 종류가 많기 때문이죠. 최근 들어 펀드를 둘러싼 크고 작은 문제가 줄줄이 터지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투자 초보자로선 망설일 수밖에 없습니다. 그럼 ‘알쏭달쏭’한 펀드의 종류는 어떤 것이 있고, 무엇을 알아야 할까요? 더스쿠프(The SCOOP)가 fund class를 통해 펀드의 종류를 알아봤습니다. 엉클조와 강기자의 fund class 제3편입니다.진행=강서구 더스쿠프 기자ksg@thescoop.co.kr진행=조경만 금융컨설턴
간접투자인 펀드는 직접투자인 주식보다 안전한 투자처로 여겨집니다. 하지만 펀드투자에서 원금 손실이 발생했다는 얘기를 어렵지 않게 들을 수 있습니다. 과연 펀드는 주식투자보다 안전한 투자처가 맞을까요. fund class에서 살펴봤습니다. 엉클조와 강기자의 fund class 제2편입니다. 진행=강서구 더스쿠프 기자 ksg@thescoop.co.kr진행=조경만 금융컨설턴트(엉클조 대표)iunclejo@naver.comWith Video B .embed-container { position: relative; padding-bottom
건설 현장은 일반적으로 비가 오면 멈춥니다. 이유는 안전사고와 품질 두가지 때문입니다. 특히 비는 건축물의 안전성 등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콘크리트를 타설(구조물의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부어 건물의 형태를 만드는 일)할 땐 빗물이 들어가선 안 됩니다. 콘크리트는 모래나 자갈 같은 골재에다 접착제인 시멘트, 그리고 물을 일정 비율로 섞어서 만드는데, 빗물이 섞이면 배합 비율이 달라져 강도나 내구성이 약해집니다. 더스쿠프(The SCOOP)는 한 아파트 건설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 직후 시멘트가 폭우에 줄줄 씻겨내려가는 동영상
지난해 조국 전 법무부장관 사모펀드 논란, 파생결합펀드(DLF) 사태, 라임자산운용 사태 등. 펀드가 참 시끄럽습니다. 대형 사고가 잇따라 터진 탓에 펀드투자를 향한 불신도 한껏 커졌습니다. 펀드, 과연 투자할 만한 상품일까요. 엉클조와 강기자의 fund class에서 답을 찾아보시죠. 제1편의 막을 올립니다. 진행=강서구 더스쿠프 기자 ksg@thescoop.co.kr진행=조경만 금융컨설턴트(엉클조 대표)iunclejo@naver.comWith Video B.embed-container { position: relative; pa
완벽한 모습만 보여주고 싶기 때문일까요? 대부분의 스타트업 대표는 테스트 제품을 주변에 알리길 꺼립니다. 그렇게 혼자서 끙끙 앓다 때를 놓치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김정석 클라우드앤 대표는 “망설이지 말고 주위 사람들의 피드백을 받으라”고 조언합니다. 쓴소리를 겸허히 받아들이고 빠르게 문제를 해결해야 급변하는 시장 속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는 겁니다. 더스쿠프TV(The SCOOP) 배종찬의 만물놀이터 ‘김정석 클라우드앤 대표 이야기’ 마지막 편입니다. .embed-container { position: relative; paddi
수조원에 달하는 공기청정기 업계를 꽉 쥐고 있는 건 대기업입니다. 대량생산 체제와 기술력으로 시장을 장악하고 있어 진입장벽이 꽤 높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클라우드앤의 김정석 대표는 공기질 관리 서비스로 영역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에어콘에 필터를 설치한다는 기발한 아이디어 덕분입니다. 하지만 김 대표는 아이디어 하나로 대기업과 경쟁하는 건 힘든 일이라고 말합니다. 그는 또 무엇을 준비하고 있을까요? 더스쿠프 TV(The SCOOP) 배종찬의 만물놀이터 3부에서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embed-container { position:
스타트업 창업자는 신중함을 잃어선 안 됩니다. 하지만 때론 과감하게 밀어붙이는 결단력을 보여줘야 할 때도 있습니다. CEO가 “잘 될 거다”는 자신감을 보여줘야 직원들도 믿고 따라오기 때문입니다. 김정석 클라우드앤 대표가 그랬습니다. 더스쿠프TV(The SCOOP) 배종찬의 만물놀이터에서 김 대표의 스토리를 자세하게 들려드립니다. .embed-container { position: relative; padding-bottom: 56.25%; height: 0; overflow: hidden; max-width: 100%; } .em